번지수 조회 쉽게 찾기

우리나라 주소체계가 바뀌었습니다. 과거에는 지번 기준이었다면, 현재는 도로명으로 변경되었는데요. 아직 어색하게 느껴집니다. 익숙해지면 더 편하다고 하는데요. 지켜봐야겠습니다.



오늘은 번지수 조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 텐데요. 인터넷으로 물건을 사거나, 우편물을 받기 위해서는 주소를 입력해야 합니다. 아직 구주소 시스템이 편한 분들은 오늘 알려드리는 방법으로 편하게 찾아볼 수 있어요.


앞으로는 신주소(도로명)를 사용하는 것이 보편화될 텐데요. 구주소를 사용해서 자동으로 찾아주는 기능도 있습니다. 지금부터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번지수 조회 방법


여러분에게 알려드릴 번지수 조회 방법은 2가지입니다. 포털 사이트를 사용하는 것과 공식 사이트를 통해서 번지수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 직접 해보시고 자신에게 맞는 것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포털 사이트 검색하기


첫 번째로 포털 사이트에서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화면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자신이 찾고 싶은 지역명을 입력하시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지번 주소 검색 결과


다음과 같이 네이버 부동산 항목에 지번 주소가 표시된 것을 볼 수 있어요. 번지수 조회 결과 위에는 도로명 주소가 나타나 있습니다. 두 가지 중에 하나만 알고 있으면 편하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홈페이지


두 번째로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홈페이지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하면 사이트 주소가 나옵니다. 클릭하시고 접속하시면 위와 같은 화면을 만날 수 있어요. 자신이 찾고 싶은 주소를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번지수 찾기 결과


검색 결과 화면입니다. 도로명 주소, 지번, 우편번호, 부가정보 순서로 4가지 결과가 나옵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어플(앱)을 이용하셔도 됩니다. 번지수 찾기 사용법은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과 같습니다.


부가정보 화면


부가정보 항목에서는 더욱 자세한 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장 좋은 점은 영문 주소를 알려준다는 것입니다. 번지수 조회 쉽게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구주소와 신주소가 헷갈리거나 궁금해진다면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