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무일수 계산기 사용하기

근무일수 계산기 무료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회사를 옮겨야 할 일이 있을 때나 아르바이트 이력서를 작성하는 경우 전 직장에서 얼마나 일했는지 경력을 입력해야 합니다.



달력을 펼쳐놓고 입사한 날짜부터 하나씩 세어봐야 할까요? 너무 무식한 방법입니다. 하루 이틀 일한 것도 아닌데 언제 세고 있나요.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까요?


계산기를 사용하면 쉽게 할 수 있어요. 오늘은 2가지 방법을 알려드릴 텐데요. 네이버에서 제공해주고 있는 날짜를 세주는 페이지와 윈도우 기본 프로그램을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 날짜계산


네이버에서는 위의 화면에서처럼 날짜계산 페이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검색창에 입력하시고 찾으시면 됩니다. 근무일수 계산기 사용법도 간단합니다. 기준년월일 부분에 입사일을 입력하시고, 까지는 며칠째? 부분에 퇴사일을 넣으시면 되는데요. 기준일부터 1일로 계산된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며칠째 되는 날, 디데이(D-Day) 계산 기능도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다른 탭으로 이동하시면 양음력변환, 전역일, 만나이계산을 해볼 수 있습니다.


윈도우 계산기


이번에는 윈도우에 기본적으로 들어가 있는 계산기 프로그램을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그림에서처럼 실행시켜 주세요. 뭔가 화면이 다르죠? 메뉴에 있는 보기를 클릭하시고, 날짜 계산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다음과 같이 근무일수 계산기로 사용할 수 있는 화면을 만날 수 있습니다. 두 날짜 간 차이 계산으로 설정하신 후, 시작/끝 날짜를 입력하시고 계산하시면 됩니다. 네이버와 달리 시작일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