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불안요소 1위부터 알아보기

학생인 시절에는 느끼지 못했던 불안감을 성인이 되어서 체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나 요즘 같이 전세계적인 경기 침체 속에서는 먹고 살 걱정으로 인해서 우울증에 걸린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이때 한 설문조사의 결과가 발표되면서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한국 성인 불안요소 순위를 발표했다고 하는데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과연 나에게도 해당하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사람들 모습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나이가 많고, 교육수준이 낮으며 육체적인 일을 하는 사람들이 불안점수가 높았다고 합니다. 



비정규직 제도에 대한 비난이 거세지고 있는데요. 임시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불안 점수도 높은 결과를 보였다고 합니다.


노인 부부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성인 불안요소 순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위는 무엇일까요? 사회가 불안정해 지면서 노후에 대한 걱정이 크게 늘었다고 합니다. 무려 25.3%가 이 문제를 꼽았다고 합네요.


구직자의 모습


성인 불안요소 2위는 취업 문제였다고 합니다. 멀쩡하게 회사를 다니고 있는 사람들도 언제 짤릴지 몰라서 전전긍긍한다고 하는데요. 구직 준비중인 사람들은 바늘 구멍을 통과하기 위해서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누구하나 안심할 수 없는 사회가 된 것입니다.


명상하는 여자


3위는 건강이 올랐습니다. 새해가 되면서 건강 소원을 비신 분들이 많았을 텐데요. 불안요소에서는 겨우 3위에 올랐습니다. 그야말로 원초적인 먹고 살 걱정거리가 먼저인 세상인 된것입니다.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성인 불안요소 다음 순위로는 자녀 및 가족 부양, 정신 건강, 이웃관계 등이 줄을 이었다고 합니다.


경기침체


대한민국은 세계적으로 봤을때도 매우 불안정하며 불안을 많이 느끼는 상태라고 하는데요. 이같은 원인은 무엇일까요? 성인 불안요소를 불러 일으키는 것으로 경기침체를 꼽을 수 있다고 합니다. 전반적인 경제 여건이 악화되면서 사회분위기가 부정적으로 흘렀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