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세 조회방법 쉬워요

자동차세 조회방법 알고 계신가요? 자동차를 소유하게 되면 매년 세금을 납부해야 되는데요. 1년에 상반기, 후반기 2번에 걸쳐서 내야 합니다. 물론 1월달에 한꺼번에 내도 되는데요. 할인도 해줘서 좋습니다.



처음 중고차, 새차를 구입하는 분들이라면 내 차에 부과되는 세금이 어느정도 나오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차량의 용도와 연식, 엔진 CC에 따라서 달라지게 되는데요. 도대체 계산법을 찾아봐도 어떻게 적용하는지 모르겠더라고요.


이럴 때는 자동으로 조회해볼 수 있는 서비스를 이용하면 좋은데요. 오늘 인터넷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할게요. 사용자의 차량 정보를 입력하고 계산 버튼을 누르면 바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자동차세 조회방법 자세히 살펴보도록 할게요.


자동차세 조회방법

위택스 사이트 주소


오늘 사용할 사이트는 위택스(Wetax)입니다. 지방세와 관련된 모든 내용을 조회할 수 있으며, 납부까지 할 수 있는 곳입니다. 다른 곳에서도 자동차세 계산기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아무래도 공식 사이트에서 하는 것이 신뢰가 갑니다. 검색 엔진에서 찾으시면 주소가 나오니 참고하셔서 접속해주세요.


지방세 안내 버튼


위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한 모습입니다. 상하수도요금, 주민세, 지방세, 취득세 등 다양한 내용들이 있습니다. 우리는 화면 오른쪽에 있는 Quick menu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에서 5번째를 보시면 지방세 안내 버튼이 있습니다. 클릭해주세요.


지방세 미리 계산해보기


지방세 정보 페이지가 나타났습니다. 지방세 안내부터 시가표준액 조회, 자료실 등이 있는데요. 지방세 미리 계산해보기를 선택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으로 원하는 세목을 선택해야 하는데요. 자동차세(소유) 버튼을 눌러주세요.


차종구분 및 용도


자동차세 조회방법은 간단합니다. 먼저, 사용자의 차량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첫번째로 차종구분을 해줘야 합니다. 승용, 승합, 화물, 특수, 삼륜이하소형차가 있습니다. 자신에게 해당하는 것을 선택해주세요. 차량용도에서 영업용/비영업용 중에서 선택하시면 됩니다.


자동차세 조회 결과



다음으로 최초등록년월과 과세년도 배기량을 CC 단위로 입력하시면 되는데요. 저는 스용자동차, 비영업용, 2011년 6월 등록, 배기량은 2000cc로 입력했습니다. 과세년도는 당연히 올해로 지정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세액 미리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에 결과가 나옵니다.


상반기와 하반기로 나뉘어서 자동차세, 교육세를 표시해주는데요. 합계 금액도 알려줍니다. 경감적용율도 퍼센트(%)로 보여줍니다. 지금까지 자동차세 조회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여러분도 직접 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